NIC
- 네트워크 장비와 LAN 사이의 통신을 준비
- 전송될 데이터를 병렬에서 직렬로 전환
- 빠른 전송을 위해서 데이터 코딩 및 압축
- Access Control 기능이 구현된 하드웨어와 펌웨어가 들어있다.
- 저장소인 하드웨어, 제어와 저장을 위한 펌웨어 존재
- 유선 무선 연결 지원
- 이더넷, 기가비트 이더넷, 광섬유, 토큰링
CS8900A 특징
- 10Mbps를 지원하는 이더넷 컨트롤러
- IEEE 802.3 기준을 따르고 Direct ISA-BUS 연결을 사용
- EEPROM을 제공하여 점퍼설정을 최소화한 설정이 가능
- EEPROM에는 MAC주소 읽는 것 가능
- CSMA/CD는 충돌처리를 담당
충돌처리 CSMA/CD 기본 알고리즘
- 일정시간을 기다리는 것에 따라서 알고리즘이 결정됨
이더넷 계층 구조
- LLC : 흐름제어와 오류 제어 담당
- MAC : CSMA/CD 접근 방법에 대한 동작을 담당한다
이더넷 프레임 포멧
- FCS에서는 CRC 체크섬으로 에러 확인
프레임의 길이
- data는 가변적으로 변한다.
칩의 레지스터
- PacketPage Pointer Prt를 통해서 접근
- 기본주소에 0x00A를 더해서 결정된다.
- 레지스터에 있는 데이터를 읽기 위해서는 이 PacketPage Pointer Port에 먼저 레지스터의 offset을 쓰고 나서 data port를 통해서 읽고 쓴다.
디바이스 드라이버
커널 부팅과 네트워크 디바이스 드라이버
- 커널 초기화
- 등록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드라이버 확인
- cat /proc/net/dev
>> Receive, Transmit의 bytes packets, errs, drop fifo frame
ifconfig 명령
-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활성화 하거나 비활성화
- ifconfig [interface] [ip] [netmask mask] [up | down]
네트워크의 요소
인터페이스 이름
- lo, dummy0, eth0 과 같은 별칭
- lo는 루프백 어드레스
인터페이스 타입
- ethernet, isdn, adsl과 같은 형태
- ifconfig -a 명령시 Link encap 항목에서 확인
하드웨어 주소
- 이더넷 하드웨어 MAC 주소
네트워크 주소
- TCP/IP 에서 사용을 위한 IP주소
데이터 처리 능력
- 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량을 MTU라고 하고, 패킷을 전송할 때 분할 기준
- 송신 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바쁠 때 시스템에 대기할 수 있는 큐의 크기는 txqueuelen으로 표시
'컴퓨터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컴퓨터 네트워크와 OSI 7계층 (0) | 2022.04.06 |
---|---|
컴퓨터 네트워크 요약 (0) | 2022.04.04 |
네트워크의 계층 별 역할 (0) | 2022.04.04 |
네트워크와 인터넷 (0) | 2022.04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