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트워크
- 종단 시스템: PC나 스마트폰처럼 네트워크 송수신 주체
- 프로토콜: 두 이종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약속
- 통신을 목적으로 실제 물리적으로 연결 돼있는데, 무선으로 연결됨
인터넷
- 회사, 소규모 N/W 에서 전세계 N/W와 연결된 상태
- 다양한 Application 서비스 제공
- 보통 ISP에 의해 종단 시스템이 연결된다.
*여기서 ISP는 KT, SKT, LG U+ 와 같은 곳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OSI 7계층
- N/W 구성 요소를 7계층으로 나눈 표준 모델
- 각 계층 별 역할을 통해 통신 규격을 만족
- 일부 하위계층은 H/W에서 구현되며 상위계층은 S/W로 구현
TCP/IP
- OSI 7계층이 나오기전 널리 사용되던 사실상 표준 역할
- 각 계층별 역할에 따라 역할이 나누어진다.
- 업계에서 두루두루 써왔음
IP주소
- 통신 자료를 최종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송/수신 위치 정보, 주소
- 보통 IPv4의 주소를 사용하며 주소 부족을 위해 IPv6 개발됨
패킷교환
- 종단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패킷이라는 단위로 전달한다. 가장 최소의 단위임
- 패킷은 네트워크를 통해 일정한 순서없이 보내지며 어떤 경로를 통해 이동되는지는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.
통신을 위한 기본 동작
확인
- 전송 측에서 응답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확인한다
응답
- 수신하는 장치에서 요청받은 작업에 대해 적절히 응답한다
인지
- 수신하는 장치에서 작업 요청 이벤트를 확인한다.
요청
- 전송하는 종단 장치에서 상대방에 서비스를 요청한다.
LAN
- 일정 그룹의 지역 네트워크 (집, 사무실 학교등)
- 소규모로 묶이며 시설망등을 구축해 연결
WAN
- 원거리 통신망으로 넓은 범위 연결 (국가, 대륙)
크기유형
LAN < WAN < Internet
Internet -> WAN -> LAN -> Switch -> PC, Mobile
네트워크 토폴로지
Ring Topology
- 하나가 고장나면 다른게 문제됨
Bus Topology
Star Topology
Mesh Topology
- 가장 빠르고 고장나도 문제없음
- But 복잡함
'컴퓨터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각 계층 별 프로토콜 역할 (0) | 2022.04.07 |
---|---|
컴퓨터 네트워크와 OSI 7계층 (0) | 2022.04.06 |
컴퓨터 네트워크 요약 (0) | 2022.04.04 |
네트워크의 계층 별 역할 (0) | 2022.04.04 |